저시력 보조기구로 생활을 편리하게
Better Vision, Better Life
확대경종류 | 작업거리와 작업시간 | |||||
근거리 | 근거리 | 중간거리 | 중간거리 | 원거리 | 원거리 | |
단시간 | 장시간 | 단시간 | 장시간 | 단시간 | 장시간 | |
손잡이형 | O | - | - | - | - | - |
스탠드형 | - | O | - | - | - | - |
안경형 | O | O | - | - | - | - |
망원경형 | O | O | O | O | O | O |
비디오형 | O | O | O | O | O | O |
저시력보조기구를 국가에서 지원해주는 다양한 제도가 있습니다.
보건 복지부에서 생활이 어려운 저소득 장애인들에게 보조기구를 지원하는 사업
적용 대상 보장구 | 기준액 | 내구 연한 |
저시력 보조안경 | 100,000원 | 5년 |
돋보기 | 100,000원 | 4년 |
망원경 | 100,000원 | 4년 |
콘텍트렌즈 | 80,000원 | 3년 |
의안 | 300,000원 | 5년 |
흰지팡이 | 14,000원 | 0.5년 |
장애인의 고용촉진과 직업생활 안정을 위하여, 한국장애인고용공단에서 보조 공학기기를
무상으로 임대 또는 지원하는 사업.
구분 | 지원한도 |
|
보조공학기기 | 무상임대 | 장애인 1인당 1,000만원(중증 1,500만원)한도 지원 |
무상지원 | 장애인 1인당 300만원(중증 500만원)한도 지원 |
국가보훈처에서 국가유공자를 대상으로 보조공학기기를 지원하는 사업
미래창조과학부, 한국정보화진흥원, 지방자치단체에서
경제적으로 어려운 장애인에게 정보통신보조기기 구매를 지원하는 사업
장애등급 |
경제적여건 |
사회활동 참여도 |
적정성 |
활용도 |
중증장애인 우선 | 저소득층 우선 | 취업자>구직자>학생>일반 | 적정성 높은 장애인 우선 | 활용도가 높은 장애인 우선 |
20점 | 20점 | 20점 | 20점 | 20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