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루페 온라인몰
[공지사항]
게시글 보기
시각장애인 보조기구 국가 보조금 신청 절차
Date : 2017-09-26
Name : 관리자
Hits : 28168

아이루페는 국내 최대 규모라고 자부할만큼 많은 제품을 취급하고 있습니다.
그중 돋보기가 주 메인을 이루며 렌즈, 광학기기 등 눈에 관련된 제품을 제조 판매하고 있습니다.
그러다 보니 시각장애인분들께서 간혹 국가 지원금을 받아 제품을 구매하러 오시는 분들이 계십니다.










위 순서가 보장구 신청 절차입니다.
더 궁금한 것이 있으신 분은 아이루페로 연락주시면 친절히 안내해 드립니다. ^^





저시력보조기

저시력 보조기구로 생활을 편리하게
Better Vision, Better Life

저시력보조기

눈 질환으로 시력이 손상되면 글쓰기, 읽기, TV 보기, 생활하기에 어려움을 많이 겪습니다. 저시력 보조기구란 그러한 분들의 불편을 덜어드리고 스스로 활동할 수 있도록 도와드리는 보조기구입니다. 보조기구를 사용하면 독서의 속도가 빨라지고, 생활하는 데 도움을 받습니다. 저시력 보조기는 크게 3가지로 나뉩니다.
1) 광학 기기
2) 전자기기
3) 비광학기기
저시력보조기구는 목수들이 사용하는 연장과 같습니다. 망치, 드라이버를 사용하여 여러 가지 작업을 하듯이, 여러 가지 저시력 보조기를 이용하면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습니다. 손잡이 확대경은 메뉴 같은 것을 읽을 때 편합니다. 장시간 손으로 들고 봐야 하는 독서에는 스탠드 형 확대경 또는 돋보기 안경이 좋습니다.
일반적으로 눈이 나빠지면, 남아 있는 시력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하여 3~4 종류의 보조기구를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안경을 끼고도 확대경을 이용하기도 합니다. 장시간 책이나 서류를 읽어야 하는 분들은 전자확대기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안타깝게도 우리나라에는 전자확대기라는 저시력보조기구가 있는지 조차 모르는 분도 많습니다.
저시력보조기가 효과 있나요?
물론입니다. 시력이 손상되었다고 독립생활이 위축 되어서는 안됩니다. 저시력보조기구를 이용하면, 스스로 생활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Acta Ophthalmologica라는 잡지에 평균 연령 82세의 저시력 환자 53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내용이 소개되었습니다. 조사 대상 환자 중에서 16%만 독서를 할 수 있었는데, 저시력보조기를 사용하게 했더니, 94%의 환자가 독서를 할 수 있었답니다. 저시력보조기는 독서의 속도를 빠르게 해준다는 조사 결과도 있습니다. 
영어단어를 1분에 평균 20단어를 읽는 저시력자에게 저시력보조기구를 사용하게 했더니, 평균 72단어를 읽었습니다. 무려 360% 빠르게 읽게 된 겁니다. 시력이 손상된 분은 적극적으로 저시력 보조기구에는 무엇이 있는지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지 알아야합니다.

저시력 보조기구의 종류
저시력 보조기구는 손잡이형 확대경에서부터, 스탠드형 확대경, 망원경, 비디오 확대경, 안경에 끼워 사용하는 클립형 착색렌즈 등 다양합니다. 아직도 남아 있는 시력을 사용하는 것이 눈의 상태를 더 악화 시키지는 않습니다. 오히려 뇌를 훈련시켜 이미지를 빨리 받아들이게 해줍니다.

저시력 보조기구의 종류

  • 손잡이형 확대경
  • 손잡이형은 메뉴, 가격표, 온도계, 약병의 성분을 읽을 때 사용하기 좋습니다. 배율과 디자인이 다양합니다. 요즘에는 조명등이 장착된 확대경도 많습니다.


  • 스탠드형 확대경
  • 스탠드형은 독서, 잡지, 주식시세표를 보거나, 쓰는 일을 할 때 좋습니다. 질환으로 손을 떨어서 확대경을 오래 들고 있기 힘든 분들이 사용하기에도 좋습니다.


  • 돋보기
  • 돋보기는 근거리용입니다. 메뉴를 보거나 책이나 신문을 볼 때 사용합니다. 두 손을 자유롭게 쓸 수 있어 편합니다. 요즘에는 기술이 발달하여 아주 얇은 렌즈의 돋보기도 있습니다. 보통 안경처럼 자연스럽게 보입니다.


  • 망원경
  • 저시력 망원경에는 근거리용, 원거리용 모두 있습니다. TV를 볼 때, 길에서 버스 번호나 간판을 볼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리에 따라 캐플러식과 갈릴레오식이 있고, 사용방법에 따라서는 손잡이식 망원경과 안경에 부착하는 안경형 망원경이 있습니다. 그리고 한 눈으로만 보는 단안경과 두 눈으로 보는 쌍안경이 있습니다.

  • 저시력 현미경
  • 일반적으로 현미경은 미생물처럼 작은 물체를 보는 기기지만, 저시력에서는 고배율의 볼록렌즈를 끼운 안경을 현미경이라 합니다. 저시력 현미경에는 전시야현미경과 망원현미경(reading telescope)이 있습니다. 망원현미경은 25~60cm 의 작업거리에 사용됩니다. 대물렌즈 앞에 리딩캡(leading cap)을 부착하여 거리와 배율을 조정합니다.

  • 특수 선글라스
  • 색렌즈를 사용하여 콘트라스트를 강화한 선글라스는 자외선과, 눈에 해로운 청색광선을 감소시켜 콘트라스트를 강화해주고, 눈부심을 막아주어 눈을 편하게 해줍니다. 에센바흐의 <웰니스 프로텍트®> 제품이 해당됩니다. 안경위에 끼워 사용하는 클립온(clip-on) 착색렌즈도 있습니다.

  • 비디오형 확대경
  • CCTV 원리를 활용한 전자확대경으로 모니터에 비추어 보는 것으로, 데스크형과 휴대형 두 종류가 있습니다. 배율이 높아 글자를 크게 확대도 하고, 여러 가지 색상으로 글자 색과 배경색을 바꾸어 보여줍니다. 밝기 조절, 콘트라스트 조절 기능이 있어 글자를 편하게 볼 수 있습니다. 배율도 1.5배에서 수 십 배 로 다양하게 조절 됩니다. 휴대형은 작고 가벼워서 학교, 시니어 아카데미, 회사에 휴대하고 다닐 수 있습니다. 에센바흐의 비소룩스디지탈 HD 같은 기종은 PC나 TV 에 연결하여 볼 수도 있습니다.

저시력 보조기구 고르기

먼저 확대도구 사용 목적을 정하세요. 예를 들어 독서, TV 시청, 취미활동, PC 작업, 길거리 간판이나 길안내표시 보기, 연극 공연 관람, 스포츠 관전처럼 사용 목적을 분명하게 정하세요.
다음은 작업거리, 작업시간, 배율, 조명을 고려해서 확대경 종류를 고르세요
1.작업거리
  • 1) 근거리: 40cm 이내의 거리입니다. 일반적으로 독서거리 라고 하며, , 독서, 쓰기, 식사하기 좋은 거리입니다
  • 2) 중간거리: 41cm에서 100cm 사이의 거리입니다. PC를 사용할 때, 연주하며 악보를 볼 때, 수공예와 같은 취미활동 할 때 알맞은 거리입니다.
  • 3) 원거리: 450cm 이상 되는 거리입니다. TV 시청, 길거리 간판보기, 스포츠 관전, 공연 관람하는 거리입니다.
  • 2. 작업시간
    확대기구를 사용하여 특정한 일을 해내는 데 소요되는 시간입니다. 두 가지로 나눕니다.
  • 1) 단시간 작업: 단 몇 분 안에 일을 마치는 작업입니다. 메뉴 읽기, 가격표 보기, 주소 쓰기, 길거리 간판 보기가 있습니다.
  • 2) 장시간 작업: 넉넉한 시간이 필요한 일들입니다. 독서, 신문 잡지 보기, TV 시청, 편지 쓰기, 계산서 쓰기 등 입니다.
  • 다음의 <표1>는 작업거리와 작업시간에 따라서 사용하기 알맞은 확대경 종류의 카테고리를 보여주는 도표입니다. 예를 들어 메뉴를 볼 때 필요한 확대경을 고르려면, 가까운 작업거리와 짧은 작업시간에 해당하는 카테고리의 확대경을 고르면 됩니다. 즉, 손잡이형, 망원경형, 비디오형이 이런 작업에 좋습니다.

  • <표1> 작업용도에 따른 확대경의 종류

    확대경종류작업거리와 작업시간
    근거리근거리중간거리중간거리원거리원거리
    단시간장시간단시간장시간단시간장시간
    손잡이형O-----
    스탠드형-O----
    안경형OO----
    망원경형OOOOOO
    비디오형OOOOOO

    3. 배율
    해야 할 일과 눈의 장애 정도에 맞는 확대 배율의 확대 기구를 고르세요. 
    아이루페 홈페이지에는 다양한 확대 기구가 있습니다.
    4. 조명
    마지막으로 조명을 고려하세요. 시력과 일하는 곳의 환경 조명 상태에 따라서, 별도의 조명이 필요할 수가 있습니다. 조명에는 LED, 할로겐, 백열등, 형광등 과 같이 여러 종류의 조명이 있습니다. 어두운 곳에서 잘 못 보는 것처럼, 조명 상태에 따라서 시력이 달라집니다.

    저시력 보조기구의 이용

    배율은 2배에서 16배까지 있습니다.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배율은 4-8배 정도입니다. 배율이 높아질 수록 렌즈 두께가 두꺼워지고, 지름은 작아집니다. 8배가되면 렌즈를 통해 볼 수 있는 시야는(sight-field) 3cm를 넘지 못합니다. 배율이 높다고 무조건 좋은 건 아닙니다. 배율이 높아지면 렌즈가 작아집니다.
  • 1. 렌즈가 크면 클수록 그만큼 배율은 낮아 지고 시야가 커지며, 눈에서 확대경을 멀리 보게 됩니다.
  • 2. 렌즈가 작으면 작을수록 그만큼 배율이 높아지고, 시야는 작아지고, 눈을 확대경 가까이 하게 됩니다.
  • 렌즈와의 거리와 시야
    만약 울타리에 난 구멍을 통해서 본다면, 좀 떨어져서 봅니까? 아니면 눈을 구명 가까이 대고 봅니까? 당연히 눈을 가까이 대고 봅니다. 구멍 가까이 눈을 대고 봐야 넓은 시야로 볼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저시력 용품도 눈을 가까이 대고 보면 시야가 더 커집니다.
    • 손잡이형 확대경 사용법
    • ㆍ확대경을 봐야 하는 물체와 평행이 되게 잡으세요.
    • ㆍ확대경렌즈의 초점거리 안에 봐야 하는 물체를 두세요.
    • ㆍ거리를 조절하며 눈이 편한 위치를 정하세요.

    • 스탠드형 확대경 사용법
    • ㆍ스탠드확대경을 독서대상물 위에 놓으세요.
    • ㆍ눈과 확대경 거리를 조절하면서 적당한 위치에서 보세요.


    • 돋보기 안경 사용법
    • ㆍ돋보기 렌즈 초점거리 안에 물체를 두세요. (팁: 돋보기안경을 끼고, 눈을 감은 뒤, 읽을 대상에 코가 닿을 정도로 가까이 대세요. 그리고 눈을 뜬 뒤 읽을 대상에서 멀리하면서 가장 선명하게 보이는 지점을 찾으세요. 그 지점이 초점 거리입니다.)
    • ㆍ읽을 대상을 렌즈와 평행이 되게 하고, 머리를 움직이지 마시고, 읽을 물체를 움직이세요. (타이프라이터 칠 때 움직임처럼, 한 줄을 다 읽으면, 줄 따라 거꾸로 그 줄이 시작한 첫 글자로 되돌아 간 뒤, 다시 아래 줄 첫 글자로 이동하여, 그 줄을 읽습니다.)
    • 비디오 확대경 사용법
    • ㆍ전원을 켜고, 읽을 대상을 카메라 아래 놓으세요
    • ㆍ자신이 좋아하는 읽기 모드를 선택하세요
    • ㆍ읽을 대상을 움직이면서 보세요


    • 망원경 사용법
      • 1) 단안경
      • ㆍ먼저 단안경 없이 대상을 바라보세요
      • ㆍ그 자세에서 단안경을 눈앞에 두세요
      • ㆍ물체에 초점을 맞추세요
      • ㆍ단안경을 움직이지 마시고, 물체를 단안경과 수평 방향으로 움직이세요(타이프라이터 칠 때 움직임처럼, 한 줄을 다 읽으면, 줄 따라 거꾸로 줄이 시작한 첫 글자로 되돌아 간 뒤, 아래 줄 첫 글자로 이동하여, 그 줄을 읽습니다. )
      • 1) 쌍안경
      • ㆍ망안경에 보이도록 물체를 찾으세요
      • ㆍ눈을 감았다 뜨고 초점을 맞추세요
      • ㆍ가까운 거리에서 물체를 볼 때는 머리를 움직이지 말고 물체를 움직이세요

    비 광학적인 보조기구

    렌즈와 같은 광학기기 아닌 저시력 보조기구에는 조명, 저시력인용 독서대, 대비강화경 (typoscope) 등이 있습니다. 저시력인은 독서 중에 글을 놓치는 경우가 있어서, 자를 이용하면 좋습니다.
    • 독서대
    • 독서대는 올바른 각도와 높이에서 독서하도록 자세를 바로 잡아줍니다. 에센바흐의 VIP 독서대는 책과 확대경을 수평이 되게 놓을 수 있도록 조정할 수 있고, 독서대 위에 확대경을 수평이 되게 올려 놓을 수 있습니다.




    장애인보조기구 보급사업

    보건 복지부에서 생활이 어려운 저소득 장애인들에게 보조기구를 지원하는 사업

    신청대상

    1) 장애종별
    장애인복지법 제32조 규정에 의거 등록한 지체ㆍ뇌병변ㆍ시각ㆍ청각ㆍ심장 장애인
    2) 소득수준
    국민기초생활보장법상 수급자 및 차상위 계층
    (※차상위계층의 경우 장애인연금 선정기준을 따름)

    서비스 내용

    <표> 적용대상 보장구 및 기준액(2015년 10월 기준)
    적용 대상 보장구기준액내구 연한
    저시력 보조안경100,000원5년
    돋보기100,000원4년
    망원경100,000원4년
    콘텍트렌즈80,000원3년
    의안300,000원5년
    흰지팡이14,000원0.5년
    서비스 이용 및 신청방법
    1) 신청절차
    장애인보조기구 교부신청서’읍/면/동 주민센터 제출,
    신청자가 많은 경우 우선순위를 정하여 교부대상자 결정
    2) 교부
    시장/군수/구청장은 제출된 신청서에 의거 교부 결정
    3) 자세보조용구 교부절차 
    4) 사이트
    중앙 장애인보조기구 사례관리센터 
    http://rtc.nrc.go.kr 
    전화문의: 1670-5529





    장애인보조공학기기 지원사업

    장애인의 고용촉진과 직업생활 안정을 위하여, 한국장애인고용공단에서 보조 공학기기를 
    무상으로 임대 또는 지원하는 사업.

    신청대상

    장애인을 고용하여 사업을 행하거나 하고자 하는 사업주로 1인사업주, 근로자도 신청 가능
    장애인근로자 및 장애인직업훈련생중에서 보조공학기기 사용자를 지정하여 신청

    지원내용

    구분

    지원한도

    보조공학기기무상임대장애인 1인당 1,000만원(중증 1,500만원)한도 지원
    무상지원장애인 1인당 300만원(중증 500만원)한도 지원
    지원방식
    취득가액 및 잔존가액이 1백만원 미만인 기기는 무상으로 지원합니다.
    취득가액 및 잔존가액이 1백만원 이상인 기기는 임대로 지원합니다. 맞춤기기는 무상으로 지원합니다.
    1) 신청절차
    신청서류보조공학기기 무상지원ㆍ임대 신청서와 구비서류 각 1부(사업장) 신청기간 연중 수시 접수함
    홈페이지 고객서비스 다운로드에서 무상지원, 임대신청서를 다운받을 수 있습니다.
    2) 접수처
    상용·맞춤보조공학기기 : 사업장 또는 훈련기관 소재지 관할 공단 지사
    3) 연락처(한국장애인고용공단 근로지원부)
    근로지원부전화 :031-728-7357 팩스 :031-728-7365




    국가유공자 보철구 지원사업

    국가보훈처에서 국가유공자를 대상으로 보조공학기기를 지원하는 사업

    대상

    전상군경, 공상군경, 4.19혁명부상자, 공상공무원, 국가사회발전특별공로상이자,
    6.18자유상이자.국가유공자에 준하는 군경, 전투종사군무원, 애국지사, 5.18 민주화운동 부상자, 특수임무부상자

    시각장애인 보급제품

    1) 독서확대기
    2) 맹인용 컴퓨터
    3) 소형녹음기
    4) 맹인용 선글라스, 저시력보조안경, 의안, 홍체 렌즈, 흰지팡이


    보급안내

    1) 보훈청 및 보훈지청 보철구 담당 민원실
    2) 신청 접수시기 : 연중 상시
    3) 보급일정 : 중앙보훈병원 보장구센터 보급 계획에 따라 연중 시행


    상담안내

    서울중앙보훈병원 보장구센터 : 02-2225-1265
    http://pocenter.bohun.or.kr


    정보통신보조기기 보급사업

    미래창조과학부, 한국정보화진흥원, 지방자치단체에서 
    경제적으로 어려운 장애인에게 정보통신보조기기 구매를 지원하는 사업 

    주요 내용

    1) 대상
    장애인복지법 제 32조의 규정에 의하여 등록한 장애인, 국가 유공자 등 예우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제6조의 규정에 의하여 등록된 자 중
    1급부터 7급까지의 상이등급 판정받은 자
    2) 보급기기의 종류
    시각, 뇌병변, 청각, 언어 등 장애 유형별로 알맞은 정보통신보조기기
    3) 지원 내용
    보조기기 제품 가격의 약 80% 지원(개인부담금 20%)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장애인은 개인부담금의 50%

    선정 평가 기준

    1) 선정 방법
    신청서, 활용계획서, 심층상담기록지, 평가기준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선정.
    선정 후 취소, 반품 등이 발생할 경우 예비후보자 가운데서 추가 선정할 수 있음.
    사용이 어렵거나 활용도가 낮은 경우 보급대상에서 제외 될 수 있음.
    제품가격 기준 1백만 원 이상의 고가 보조기기인 독서확대기는 심층상담 대상임.
    2) 신청절차
    image
    3) 평가 기준

    장애등급

    경제적여건

    사회활동 참여도

    적정성

    활용도

    중증장애인 우선저소득층 우선취업자>구직자>학생>일반적정성 높은 장애인 우선활용도가 높은 장애인 우선
    20점20점20점20점20점

    보급절차

    1) 신청 및 선정발표
    년 1회, 매년 5월~7월 사이 신청을 받고 있으며, 선정발표는 7월말 ~ 8월초에 발표됩니다.
    2) 신청 방법
    구비서류를 우편, 방문, 홈페이지(www.at4u.or.kr )를 통해
    거주지(주민등록 기준) 관할 접수처에 제출
    문의는 042)864-4460으로 연락주시면, 상담이 가능합니다.